image/nation

image/nation

  • imagenation (49)
    • chaos (0)
    • 2015 (12)
      • 성수동 수제화 거리 (5)
      • THE FRAME (7)
    • 2016 (11)
      • tokyo pop lab (4)
      • home sweet home (7)
    • image (24)
      • imagine (22)
      • sketch (1)
      • touchpoint (0)
      • reality (1)
    • nation (1)
      • web (0)
      • graphic (0)
      • editorial (1)
      • branding (0)
      • visualization (0)
    • my early memoir (0)
    • essay (1)
      • book (1)
      • music (0)
      • psychology (0)
      • architecture (0)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behance
  • pinterest
  • instagram
  • home sweet home (book)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image/nation

컨텐츠 검색

태그

졸업전시 차세대 문화공간 공모전 geometry 건축디자인 건축 imagenation major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Design 중앙대학교 Architecture 건축학과 렌더링 렌더 CG render 비주얼아트 rendering metal Culture Architecture Competition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notice

아카이브

2018 schedule book

무엇인가를 기록하는 방식은 참으로 다양해졌습니다. 매체의 변화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종이가 인류의 역사에 등장한지 수천년입니다. 양피지, 두루마리를 거쳐 펄프의 탄생과 종이의 대량생산, 필기구의 발전, 타자기의 등장까지는 또다시 수백년이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최근 수십년간의 변화는 놀라움 그 자체입니다. 컴퓨터로 도약,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 손에 쥐고 있는 스마트폰은 기록을 넘어 공유까지 이젠 기록은 그 궤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손에 필기구를 쥐고, 종이 위에 무엇인가를 끄적이곤 합니다. 그것은 낙서일수도, 스케치나 그림, 또는 수학 공식을 풀어나가는 궤적일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 기록이라는 것은 그렇게 대단한 것이나 거창한 무엇은 아닙니다. 그저 하루의 과정을 적어보고, 미래를..

자세히보기
[post-realism 022] trade

trade [18-12-10]

자세히보기
[post-realism 021] holiday

holiday [18-12-09]

자세히보기

  • 2018 schedule book

    무엇인가를 기록하는 방식은 참으로 다양해졌습니다. 매체의 변화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종이가 인류의 역사에 등장한지 수천년입니다. 양피지, 두루마리를 거쳐 펄프의 탄생과 종이의 대량생산, 필기구의 발전, 타자기의 등장까지는 또다시 수백년이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최근 수십년간의 변화는 놀라움 그 자체입니다. 컴퓨터로 도약,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 손에 쥐고 있는 스마트폰은 기록을 넘어 공유까지 이젠 기록은 그 궤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손에 필기구를 쥐고, 종이 위에 무엇인가를 끄적이곤 합니다. 그것은 낙서일수도, 스케치나 그림, 또는 수학 공식을 풀어나가는 궤적일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 기록이라는 것은 그렇게 대단한 것이나 거창한 무엇은 아닙니다. 그저 하루의 과정을 적어보고, 미래를..

  • [post-realism 022] trade

    trade [18-12-10]

  • [post-realism 021] holiday

    holiday [18-12-09]

  • 2018 schedule book

    무엇인가를 기록하는 방식은 참으로 다양해졌습니다. 매체의 변화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종이가 인류의 역사에 등장한지 수천년입니다. 양피지, 두루마리를 거쳐 펄프의 탄생과 종이의 대량생산, 필기구의 발전, 타자기의 등장까지는 또다시 수백년이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최근 수십년간의 변화는 놀라움 그 자체입니다. 컴퓨터로 도약,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 손에 쥐고 있는 스마트폰은 기록을 넘어 공유까지 이젠 기록은 그 궤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손에 필기구를 쥐고, 종이 위에 무엇인가를 끄적이곤 합니다. 그것은 낙서일수도, 스케치나 그림, 또는 수학 공식을 풀어나가는 궤적일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 기록이라는 것은 그렇게 대단한 것이나 거창한 무엇은 아닙니다. 그저 하루의 과정을 적어보고, 미래를..

  • [post-realism 022] trade

    trade [18-12-10]

  • [post-realism 021] holiday

    holiday [18-12-09]

  • [post-realism 020] frame

    frame [18-12-08]

  • [post-realism 019] layer

    layer [18-12-07]

  • seoulite vol.1

    Seoulite The maps and drawings provide basic data on building, urban planning, etc. It is also a major information medium for mapping and location. Seoul is also the most complex city in the world and holds the most diverse geographical information in Korea. This is a miniature version of a country, and we can infer its overall social structure by looking at the capital city. If you look at this..

  • the place beer

    The place beer when we meet hot and spicy food or weather, we first grip some beer in one hand and just chill out some heats inside of our body. the place beer package is the way to drink beer with sun in warm and cold night in the middle of boiled summer season. in Korea, old saying fight fire with fire. so we have to drink that one and be the flames.

  • [post-realism 018] avidity

    avidity [18-12-06]

  • [post-realism 017] sunset

    sunset [18-12-05]

  • [post-realism 016] dawn

    dawn [18-12-04]

  • [post-realism 015] lighthouse

    lighthouse [18-12-03]

  • [post-realism 014] bonbon

    bonbon [18-12-02]

티스토리
© 2018 T-Story.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